1. 알맞은 크기로 한다
평균보도 폭이 3m로 옥외광고물이 너무 크면 보행자가 한 눈에 보기 어렵다. 옥외광고물은 차량이 아닌 보행자의 시각에서 만들어야 한다.
2 .건물 및 주변환경을 고려한다.
건물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3. 너무 많이 설치하지 않는다.
업소당 한 개의 옥외광고물을 기본으로 하며, 건물에 입주한 업소 수가 많으면 연립형 옥외광고물을 활용한다.
4. 부분적인 포인트 컬러를 준다.
원색 옥외광고물이 모여 있으면 시각적인 피로를 주어 주목성이 떨어진다. 원색은 포인트 컬러로 사용한 부분적인 적용으로 효과를 높인다.
5. 적절한 여백을 두어 적용한다.
여백없이 글씨로 들어찬 옥외광고물은 가독성이 떨어진다. 적절한 여백의 조화로 편하게 읽힐 수 있도록 한다.
6. 주 표기내용과 보조 표기내용을 구분한다.
옥외광고물을 통해 가장 먼저 전달할 것이 무엇인지 결정한 뒤 중심 내용을 강조하여 표기하고, 보조내용은 작게 표시함으로써 전달성을 높인다.
7. 건축물을 배경으로 활용한다.
옥외광고물이 벽면을 가득 채워야 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건물 벽면의 디자인을 최대한 활용한 간결한 입체형 문자를 적용하여 건물의 조형미와 어우러진 옥외광고물이 더욱 돋보인다.
8. 업소의 특징을 드러내는 요소를 개발한다.
업소와 잘 어울리는 서체와 조형 이미지, 색상, 재질로 구성된 옥외광고물은 다른 업소와의 차별점이 된다. 이러한 요소를 적절하게 사용한 옥외광고물은 개성있는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게 도와준다.
9. 자극적인 디자인은 피한다.
지나치게 화려한 디자인은 거부감을 줄 수 있으며 주변 업소와의 과도한 경쟁을 유발하고 거리 경관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
10. 지속적으로 관리한다.
옥외광고물은 정기적인 청소와 수리로 업소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한다.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common/image/new_img_opentype03.png)
정보 담당 부서
- 웹페이지
- 도시국 >도시재생과 >재생정책팀
- 연락처
- 031-590-2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