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행정연혁

남양주시 행정연혁 : 시대,연도,연혁에 대한 정보제공
시대 연도 연혁
삼한시대 마한 54국 중 고리국(古離國) : 풍양·양주일대
삼국
시대
백제 B.C
18~5년
기원전 18년 백제의 시조 온조가 10명의 신하를 거느리고 마한땅에 가서 위례성(현 서울 북한산)에 백제를 세웠고, 온조 즉위 후 14년만인 기원전 5년에 도읍을 남한산성(현 경기도 광주)으로 옮긴 후 4백 년 동안 백제의 영지가 됨
286년
(책계왕 1)
아차성 수축
고구려 475년
(장수왕)
한강 유역이 고구려 영토가 되면서 현재 양주시 주내면 지역은 매성군 또는 창화군이라 칭하였으며, 남양주시 진접·진건 지역은 골의노현(骨衣奴縣)으로 불림
신라 553년
(진흥왕14)
신라가 한강 하류를 점령
통일신라 757년
(경덕왕16)
지방 행정조직을 당나라 제도를 모방하여 전국에 9주 5소경을 설치하고 115군 201현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때 고구려지역에는 한 주를 비롯한 3주를 두었는데, 한주의 치소는 지금의 광주로 한양군에 있었음
고려시대 935년
(태조 18)
한양군을 양주로 개칭, 양주를 견훤에게 식읍으로 하사
940년 견주(見州) : 현 양주지역풍양(豊壤) : 진건.진접 지역평구 : 남경 소속
983년
(성종 2)
양주목 설치
1012년
(현종 3)
안무사로 고침
1018년 지양주사로 강등
1067년
(문종 21)
남경이라 하여 유수관을 두었고 『고려사』 『지리지』에 나타난 5도 양계에서 양광도의 주현으로 양주라는 명칭은 사라지고 대신 남경으로 지역 이름이 바뀌었으나 곧 격하
1104년
(숙종 9)
남경 승격, 풍양현, 견주, 사천현(현 동두천시 지역)을 남경의 직할지로 삼음
1308년
(충렬왕 34)
남경을 한양부로 격하
조선시대 1394년
(태조 3)
한양부를 한성부로 개칭양주 치소를 대동리(현 광진구 광장동)로 옮김. 양주를 지양 주사로 강등
1395년 양주부로 승격
1397년 양주 치소를 고주내(현 양주군 고읍리)로 옮김
1410년
(태종 10)
양주목으로 승격
1413년 양주도호부로 강등
1419년
(세종 1)
풍양현을 포주에서 양주로 이관
1466년
(세조 12)
양주목으로 승격되고 풍양현을 속현으로 둠
1504년
(연산군10)
양주목 폐지, 왕의 사냥터가 됨
1506년
(중종 1)
양주목 복구
1895년
(고종 32)
8도제 폐지. 전국 23부로 구분. 한성부 양주군 소속 (칙령 제101호)
1896년 23부제 폐지. 13도로 개편. 경기도 양주군 소속 (칙령 제36호)
1906년 광주군 초부면(草阜面), 양주군 편입
일제강점기 1914년 경기도 양주군(행정구역 통폐합)
1940년
 2월14일
조안출장소 설치
해방 이후 1946년 
2월15일
파주군 남면이 편입(1읍 16면이 됨)
1963년
1월 1일
수동면 신설(화도면 3리, 진접면 1리, 가평군 외서면 3리를 통합)→ 법률 제1176호(1962. 11. 21 공포)노해면의 9개리와 구리면 5개리가 서울특별시에 편입(1읍 15면이 됨)→ 법률 제1172호(1962. 11. 21 공포)
1966년
 7월11일
별내면 퇴계원출장소 설치
1973년
 7월 1일
구리면이 읍으로 승격(2읍 14면이 됨)→ 대통령령 제6543호 (1973.3.12 공포)
1979년 
5월 1일
미금면이 읍으로 승격(3읍 13면이 됨)→ 대통령령 제9409호(1979.4.7 공포)
남양주시
분군 이후
1980년
 4월 1일
남양주군 신설 분군 (구리.미금읍, 진접.진건.화도.수동.와부.별내면: 2읍 6면)→ 법률 제3169호(1979. 12. 28 공포)
1980년
 12월 1일
와부면이 읍으로 승격 (3읍 5면이 됨)→ 대통령령 제10050호(1980. 10. 21 공포)
1983년
2월 15일
진건면 양지리.오남리.팔현리가 진접면에 편입→ 대통령령 제11027호(1983. 1. 10 공포)
1986년 
1월 1일
구리읍이 시로 승격 분리 (2읍 5면이 됨)→ 법률 제3798호(1985. 12. 28 공포)
1986년 
4월 1일
와부읍 조안출장소가 조안면으로 승격 (2읍 6면이 됨)→ 대통령령 제11874호(1986. 3. 28 공포)
1989년 
1월 1일
미금읍이 시로 승격 분리 (1읍 6면이 됨)→ 법률 제4050호(1988. 12. 30 공포)
1989년
 4월 1일
진접면이 읍으로 승격. 퇴계원출장소가 퇴계원면으로 승격 (2읍 6개이 됨)→ 남양주군 조례 제663호(1989. 3. 31 공포)
1991년 
12월 1일
화도면이 읍으로 승격 (3읍 5면이 됨)→ 남양주군 조례 제810호(1991. 11. 29 공포)
1992년
4월 1일
진접읍 오남출장소 설치→ 남양주군 조례 제839호(1993. 3. 16 공포)
남양주시
신설 이후
1995년 
1월 1일
미금시와 남양주군이 통합, 남양주시 신설(3읍 5면 6동이 됨)→ 법률 제4774호(1994. 12. 31 공포)
1995년
 5월 6일
오남출장소가 오남면으로 승격 (3읍 6면 6동이 됨)→ 남양주시 조례 제140호(1995. 5. 6 공포)
2001년 
9월 12일
진건면, 오남면이 읍으로 승격 (5읍 4면 6동이 됨)→ 남양주시 조례 제454호(2001. 9. 12 공포)
2005년
 6월 1일
별내면 청학출장소 개소→ 남양주시 조례 제596호(2005. 5. 12 공포)
2006년 
1월 20일
풍양출장소 개청→ 남양주시 조례 제618호(2006. 1. 5 공포)
2006년 
11월 20일
화도읍 동부출장소 개소→ 남양주시 조례 제637호(2006. 5. 18 공포)
2009년 
12월 14일
별내면 청학출장소 폐지→ 남양주시 조례 제854호(2009. 10. 8 공포)
2012년 
1월 2일
별내동 개청(5읍 4면 7동이 됨)→ 남양주시 조례 제1006호(2011.12.22 공포)
2016년 
1월 4일
와부·조안, 화도·수동, 호평·평내 행정복지센터 개청→ 남양주시 조례 제1320호(2015.11.19 공포)
2017년 
2월 6일
풍양출장소 폐지 → 남양주시 조례 제1417호(2017.01.25 공포)
진접·오남, 진건·퇴계원, 도농·지금, 별내, 금곡·양정 행정복지센터 개청 → 남양주시 조례 제1419호(2017.01.25 공포)
2017년 
12월 18일
도농동, 지금동 명칭을 각각 다산1동, 다산2동으로 변경 → 남양주시 조례 제1487호(2017.10.30 공포)
2019년 
10월 10일
퇴계원면을 퇴계원읍으로 승격 → 남양주시 조례 제1676호(2019.10.21 공포)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보 담당 부서

웹페이지
행정기획실 >자치행정과 >시정여론팀
연락처
031-590-8505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시는 페이지의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