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 및 도시지역에서
- 수세식 변기 물통에 벽돌 및 물주머니 넣기, 수도꼭지에 절수디스크 달기 운동 등 생활용수 절수 노력을 합시다.
- 설거지 등에 사용했던 물을 허드렛물로 재사용해 물 소비 절약 노력을 합시다.
- 세탁할 때는 한꺼번에 빨래를 모아서 합시다.
- 식당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업소는 물을 적게 사용하는 방법으로 영업합시다.
- 정원이나 꽃밭에는 한번 사용한 허드렛물을 재활용합시다.
- 개인 소유의 우물(관정 포함)은 공동으로 이용합시다.
농축산 및 어촌 농가에서
- 기상전망, 지역별 강수 상황 및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을 잘 파악합시다.
- 논·밭 토양 수분함량 및 농작물 생육상황을 잘 살펴봅시다.
- 농작물에 피복(멀칭)이 가능한 곳에서는 볏짚, 비닐 등으로 토양수분 증발을 최소화합시다.
- 수리시설·양수 장비, 용·배수로를 사전 점검하고 용수확보에 주력합시다.
- 수리불안전답 등 농업용수 부족지를 파악하여 논물가두기를 준비합시다.
- 저수지 물넘이 돋우기, 간이물막이 등 농업용수 최대확보 및 물관리를 철저하게 합시다.
- 논·밭용수개발 및 기존시설보강, 지하수 개발 등 지속적인 준비를 합시다.
- 모내기 지연에 따른 못자리모 노화방지 및 절수형 영농 추진을 합시다.
- 관정, 송수 호스 등 양수 장비를 이용하여 농작물 급수대책을 준비합시다.
- 암반관정, 간이용수원 개발 등 긴급용수를 미리 개발합시다.
- 발전용 댐의 발전용수를 농업용수로 전환 사용합니다.
산업시설에서
- 평상근무체제를 유지하면서 기상청, 농진청, 시도/시군을 통한 상황을 파악합시다.
- 공장용수 재사용 및 급수탑 설치합시다.
- 공업용수 다소비 업체 보유 저수조 활용 및 자체 지하수 개발을 합시다.
- 갈수기 입주업체 시설보수 및 하기휴가 순번제를 실시합시다.
- 발전용 댐의 발전용수를 공업용수로 전환 사용합니다.
- 공업용수가 여유있는 업체에서 인근 농민에 공업용수를 지원합시다.
문의
- 남양주시 신고센터: 대표 031-590-8173, 농작물 2312, 급수 2461
- 국가재난정보센터 피해신고문의: 02-2100-0769 국가재난정보센터(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