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식중독예방

식중독예방 3대 원칙

  • 청결 → 깨끗한 손, 위생적 식품취급
  • 신속 → 신속한 섭취, 장기보관 금지
  • 가열 → 75℃ 이상으로 가열 후 섭취

식중독 예방수칙

식품에 식중독균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청결의 원칙)

  • 행주, 도마, 칼 등 부엌 기구의 소독을 철저히 한다.
  •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과 설사가 있는 사람을 조리작업에 종사하지 않도록 한다.
  • 조리장 내외의 청소에 노력하고 청결한 위생복을 착용 한다.
  • 음식물 조리 전, 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식중독균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신속의 원칙)

  • 식품에는 원래 다소의 식중독균이 오염되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식중독균이 증가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도록 신속하게 조리하여 제공
  • 많은 양을 가열 조리한 식품은 소량으로 나누어 빨리 냉각 시킨다.
  • 중요한 점은 식중독균이 있어도 그것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숫자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섭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식중독균을 사멸한다 (가열 또는 냉장의 원칙)

  • 가열할 수 있는 식품은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한다.
  • 식중독균의 사멸을 위하여 전날에 가열. 조리된 식품은 손님에게 제공하기 전에 반드시 재가열한다.
  • 균이 증가하기 쉬운 온도에 방치하는 시간을 짧게하고 냉장(가능하면 5℃전후) 또는 냉동(-18℃ 이하)상태에서 보관한다.

안전한 식품조리 10대 원칙

안전을 위하여 가공식품을 선택하세요

  • 신선식품의 섭취가 좋으나, 생·과채류는 위해 미생물 등에 의한 오염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방법으로 살균되거나 청결히 세척된 제품을 선택하세요.

적절한 방법으로 가열, 조리하세요

  • 식중독 등을 유발하는 위해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하여는 철저히 가열하여야 합니다.
  • 고기는 70℃이상에서 익혀야하고 뼈에 붙은 고기도 잘 익도록 해야 하며, 냉동한 고기는 해동한 직후에 조리하여야 합니다.

조리한 식품은 신속히 섭취하세요

  • 조리한 식품을 실온에 방치하면 위해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조리한 음식은 가능한 신속히 섭취하세요.

조리식품을 저장, 보관할 때에는 주의를 기울이세요

  • 조리식품을 4­5시간 이상 보관할 경우에는 반드시 60℃이상이나 10℃이하에서 저장하여야 합니다.
  • 특히 먹다 남은 유아식은 보관하지 말고 버리십시오. 조리식품의 내부온도는 냉각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위해 미생물이 증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조리식품을 한꺼번에 냉장고에 보관하지는 마세요.

저장하였던 조리식품을 섭취할 경우 재가열하세요

  • 냉장보관 중에도 위해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하므로 이를 섭취할 경우 70℃이상의 온도에서 3분 이상 재가열하여 드세요.

조리한 식품과 조리하지 않은 식품이 서로 접촉되어 오염되지 않도록 하세요

  • 가열조리한 식품과 날식품이 접촉하면 조리한 식품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세요.

손은 철저히 씻으세요

  • 손을 통한 위해미생물의 오염이 빈번하므로 조리전과, 다른 용무를 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조리대는 항상 청결을 유지하세요

  • 부엌의 조리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여 위해미생물이 음식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행주, 도마 등 조리기구는 매일 살균, 소독, 건조하여 주세요.

쥐 및 곤충 등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음식보관에 유의하세요.

  • 곤충, 쥐, 기타 동물 등을 통해 위해미생물이 식품에 오염될 수도 있으므로 동물의 접근을 막을 수 있도록 주의하여 보관하여야 합니다.

깨끗한 물로 조리하세요.

  • 깨끗한 물로 세척하거나 조리를 하여야 하며 의심이 날 경우 물을 끓여 사용하여야 하고, 유아식을 만들 때에는 특히 주의하세요.

라이선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정보 담당 부서

웹페이지
산업경제국 >위생과 >식품유통팀
연락처
031-590-2234

만족도 조사

만족도 조사
현재 열람하시는 페이지의 정보에 만족하십니까?